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가을의 절기 '추분'의 뜻과 유래.. 음식은..

728x90
반응형

추분(秋分) 24절기의 16번째, 가을걷이의 시기
노인성(별)에 제사 지내는 풍습



▶추분의 의미

추분은 백로부터 한로 사이의 절기로 24절기에서 16번째 절기입니다. 태양이 적도와 만나는 추분점을 지나가는 시기이며, 양력 9월 23일 경으로 실제적으로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날이지만, 태양이 진 뒤에도 빛이 대기에 의해 굴절되어 남아있기 때문에 낮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느껴질 수 있어요.

추분에는 낮과 밤이 길이가 같아지므로 이날을 계절의 분기점으로 의식합니다.
곧 추분이 지나면 점차 밤이 길어지기 때문에 여름이 가고 가을이 다고옴을 느끼게 됩니다.

추분과 춘분은 모두 밤낮의 길이가 같은 시기이지만 기온을 비교해보면 추분이 약 10도 정도가 높습니다.
여름의 더위가 아직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
추분에는 벼락이 사라지고 벌레는 땅속으로 숨고 물이 마르기 시작합니다.
또 태풍이 부는 때이기도 합니다.


▶추분의 풍습

추분은 본격적으로 추수가 시작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가을걷이가 대표 풍습이라 할 수 있습니다.

벼를 추수하는 것 외에도 고구마 순, 목화 등 다양한 작물을 거두어 들이는 시기입니다. 가을 볕에 고추를 말려 고춧가루로 만들기도 하는 등 본격적인 겨울을 대비해 겨울 동안 먹을 양식들을 비축해 두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또 추분에는 노인성이라는 별에게 제사를 지냈는데, 그 당시 사람들은 노인성이 인간의 수명을 관장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사실 이 별은 남반구에서 시리우스 다음으로 밝은 별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잘 볼 수 없는데, 중국에서 추분에 나타나 춘분에 사라지는 별이기 때문에 그런 풍습이 우리나라에 넘어와 시작된 것으로 보입니다. 이때 노인성제는 개개인이 하는 것이 아닌 나라에 제사로 진행되었습니다.


▶추분에 먹는 음식

대표적인 추분 음식은 바로 버섯입니다. 추분시기의 버섯은 향과 맛이 더욱 뛰어나고, 가을 햇살을 받은 버섯은 특히 비타민D가 풍부하며 버섯을 말려 먹으면 비타민 섭취에 더욱 도움이 됩니다.

 

한 해 중 먹을 것이 가장 풍족한 시기인 추분에는 햅쌀로 지은 햅쌀밥 역시 별미인데요. 잡곡을 섞어서 먹거나 밤과 함께 밤밥을 만들어 먹어도 아주 맛있습니다.
호박고지, 박고지, 깻잎, 고구마 순도 이맘때 거두고 산채를 말려 묵나물을 준비하기도 합니다.


▶추분의 풍속

추분에 부는 바람을 보고 이듬해 농사를 점치는 풍속이 있습니다.
이날 건조한 바람이 불면 다음해 대풍이 든다고 생각했죠. 만약 추분이 사일(社日) 앞에 있으면 쌀이 귀하고 뒤에 있으면 풍년이 듣다고 생각했습니다.

※ 사일(社日) : <민속> 입춘이나 입추가 지난 뒤 각각 다섯째의 무일(戊日).
입춘 뒤를 춘사(春社), 입추 뒤를 추사(秋社)라 하는데, 춘사에는 곡식이 잘 자라기를 빌고
추사에는 곡식의 수확에 감사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