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희망키움통장Ⅰ,Ⅱ' 등 5개 통장사업 참여자를 2월1일부터 모집한다.
서울시가 '일하는' 저소득 취약계층 대상이 '자립 씨앗자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희망키움통장Ⅰ,Ⅱ, 내일키움통장, 청년희망키움통장과 청년저축계좌 참여자를 신규 모집한다.
올해 1차 모집기간은 청년희망키움과 희망키움Ⅰ, 내일키움은 2월1일~18일이며, 청년저축계좌와 희망키움Ⅱ는 2월1일~19일 이다.
■ 만 39세 이하 일하는 청년은 '청년희망키움.청년저축계좌'
청년(만15세~39세 이하)을 대상으로 하는 청년통장은 두 가지 종류로, 가입기간 동안 근로소득이 있어야 한다. 재직증명서·사업자등록증·사업활동 등 관련 증명서류가 필요하며 소액이라도 최근 3개월 간 근로·사업소득이 있어야 한다.
대학의 근로장학금, 무급근로, 실업급여, 육아휴직수당 등의 사례는 가입이 불가하며, 사치성·향락업체, 도박·사행성 업종도 제외대상이다.
'청년희망키움'은 중위소득 30% 이하(4인가구 기준 월 1,462,887원)인 가구의 청년 대상이며 매월 근로·사업소득을 3년간 유지하면 본인 적립 없이, 매월 10만원의 근로소득공제금과 청년 총소득의 45%가 근로소득장려금으로 적립된다. 3년 후 1,560만원~2,300만 원을 마련할 수 있다.
'청년저축계좌'의 가입자격은 중위소득 50% 이하(4인가구 기준 월 243만 8,145원)인 주거·교육 급여 수급가구 또는 차상위 가구의 청년이다. 매월 10만 원을 적립하면 근로소득장려금 30만 원을 지원받아 3년 후 1,440만 원을 마련(1:3 매칭 지원) 할 수 있다.
■ 저소득층 가구는 '희망키움1·2' 자활근로자는 '내일키움'
'희망키움통장Ⅱ'의 가입대상은 중위소득 50% 이하인 주거·교육 급여 또는 차상위 가구의 가구원이며, 한부모가정이나 만 18세 미만의 아동,청소년을 부양하는 가구라면 우선적으로 가입할 수 있다. 매월 10만 원을 저축하면 근로소득장려금 10만 원을 지원받아 3년 후 720만 원을 마련(1:1매칭 지원)할 수 있다.
'희망키움통장Ⅰ'은 '일하는' 생계·의료 수급가구 중 신청 당시 가구 전체의 소득이 중위소득 4%(최저생계비)의 60% 이상인 가구원(4인 기준 월 117만310원)이 가입할 수 있다. 매월 10만 원을 저축하면 소득비례 근로소득장려금을 지원받아 3년 후 1,690만 원~2,700만 원을 마련할 수 있다.
'내일키움통장'은 지역자활센터의 자활근로사업 참여자가 대상이다. 매월 10만 원을 저축하면 내일근로장려금 1대1 매칭, 자활사업단의 매출적립금과 수익금을 재원으로 하는 내일키움장려금·내일키움수익금을 지원받아 3년 후 2,230만 원~2,340만 원을 마련할 수 있다. 본인이 소속된 지역자활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고 월 적립금은 5만 원, 10만 원, 20만 원 중 선택할 수 있다.
구 분 |
희망키움Ⅰ |
희망키움Ⅱ |
내일키움 |
청년희망키움 |
청년저축계좌 |
가입대상 |
일하는 생계·의료 수급가구 |
일하는 주거·교육 수급, 차상위 가구 |
자활근로사업 참여자 |
일하는 생계급여 수급 청년(만15~39세) |
일하는 주거·교육, 차상위 청년(만15~39세) |
가입조건 |
중위소득 40%의 60% |
중위소득 50% 이하 |
자활근로사업 1개월이상 참여자 |
중위소득 30% 이하 가구의 청년 매월 근로소득자 |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의 청년 매월 근로소득자 |
본인적립 |
5·10만원(3년) |
10만원(3년) |
5·10·20만원(3년) |
없음 |
10만원(3년) |
지원내용 |
근로소득장려금 (소득비례) |
근로소득장려금 (10만원) |
-내일근로장려금 (1:1매칭) -내일키움장려금 (1:1,1:0.5매칭) -내일키움수익금 (수익비례) |
근로소득공제금 (10만원) |
근로소득장려금 (30만원) |
별도지원 |
가구소득비례 (평균 35만~64만원) |
본인저축액 1:1매칭 |
본인저축액 1:1 매칭 |
본인소득비례 (평균 31만~52만원) |
본인저축액 1:3매칭 |
기타지원 |
민간매칭금 월 2만원 |
없음 |
-자활사업단 매출액 (시장형 1:1,서비스형1:0.5) -자활사업단 수익금 (최대 15만원) |
민간매칭금 월 최대 2만원 |
없음 |
평균적립 |
1,690만~2,700만원 |
720만원 |
2,230만~2,340만원 |
1,560만~2,300만원 |
1,440만원 |
만기조건 |
탈수급 |
자립역량교육 이수 및 사례관리 |
- 탈수급 또는 취장업, 대학교 입복학, 자격증취득 -교육이수 및 사례 관리 필수 |
탈수급 |
-자립역량교육 이수 및 국가공인자격증 취득 등 |
적립목적 외 타용도 사용 방지 위해 지원목적에 맞는 지출용도 증빙 제출 (자활용도 사용: 주택임대, 본인 및 자녀의 교육·기술훈련, 사업의 창업·운영자금, 그밖의 자활·자립에 사용) |
|||||
가입방법 |
자치구(동 주민센터)에 신청 |
지역자활센터에 신청 |
자치구(동 주민센터)에 신청 |
||
수행기관 |
자치구 |
한국자활복지개발원 |
지역자활센터 |
자치구 |
자치구 |
'생활상식및화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장학금 셋째 자녀 대학등록금 전액 지원(저소득층 대폭인상).. 신청기간 및 방법은? (0) | 2021.02.03 |
---|---|
경기도 재난지원금 신청, 대상, 방법, 절차 등에 대하여 (0) | 2021.02.02 |
대학생 학자금 대출 제도 '취업 후 학자금 상환제도' (1) | 2021.02.01 |
자영업 손실보상 '특별지원'으로 하나? (0) | 2021.01.31 |
네이버,소상공인 대출 문턱 낮췄다...매출 100만원→50만원 (1) | 2021.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