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1호 도시재생사업' 서울 종로구 '창신동', 공공재개발로 간다.

728x90
반응형

낙산에서 바라본 서울전경

"주거환경 완전 개선 위해 참여 뜻"

"주민들 동의서 징구 작업 진행 중"

 

'전국 1호 도시재생사업지구'인 서울 창신동이 8·4 공급대책 일환인 공공재개발 참여를 추진한다. 

현재 도시재생사업이 진행 중이지만 주거환경 개선이 미비해 공공재개발로 선회하려는 주민들의 요구가 높아서다.

 

하지만 도시재생 사업지역이 공공재개발 사업 참여가 가능한 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어 향후 혼란도 예상된다. 

 

2일 국토부, 서울시, SH에 따르면 정부가 이 달부터 서울지역을 대상으로 진행하기로 한 공공재개발 후보지 공모일정은 아직까지 정해지지 않았다. 

동대문 성곽

SH는 공공재개발 참여 의사를 밝힌 20여 곳의 지역을 대상으로 다음 주부터 주민설명회를 진행할 방침이다. 이런 가운데  전국에서 처음으로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한 창신동 공공재개발 참여를 준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창신동 주민들은 공공재개발 사업 참여를 위해 동의서 징구 작업을 벌이고 있다. 창신동은 2007년 뉴타운으로 지정됐지만 박원순 전 서울시장 시절인 2013년 지정이 해제됐다가 2015년 2월 전국1호 도시재생 활성화지구로 선정됐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2014년부터 창신 1·2·3동, 숭인 1동 일대 84만㎥의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해 왔다. 

 

도시재생 사업은 철거나 이주를 통한 재개발이 아닌, 기존 모습을 보존한 채 지역 활성화를 추진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5년 간의 도시재생사업 완료를 앞둔 창신동 주민들은 8·4 대책에서 발표한 공공재개발 참여를 희망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창신동 한 주민은 "도시재생은 기본 인프라인 도로와 상하수도 등이 잘 정비된 곳에서 해야 하는 사업인데 창신동은 구급차가 도로를 빠져나가는 데만 10분이 넘게 걸리는 곳"이라며 "화재가 발생해도 소방차가 진입 못하는 지역에서 도시재생을 통한 주거환경개선은 불가능하다"라고 토로했다. 

 

인근 중개업소 대표도 "뉴타운 추진 당시엔 쪼개기를 위한 신축빌라들이 들어섰지만, 지금은 차가 다닐 길이 워낙 좁아 신축 빌라도 못 지을 정도로 주거환경이 열악하다"라고 전했다.

 

서울시는 최근 창신동 등 도시재생 지역에 집수리 전문가를 파견키로 했지만 주민들의 반응은 냉담했다. 

 

창신동 운영위원회 관계자는 "서울시가 진행하는 집수리 사업은 상담만 무료고 결국 비용은 본인 부담"이라며 "창신동은 약 처방이 아닌 대규모 수술이 필요한 낙후지역"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지구 전체를 완전히 정비하는 공공재개발을 원하는 이유"라고 덧붙였다. 

창신동 골목길

다만, 도시재생 선도지역이라는 점이 창신동 공공재개발 추진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공공재개발 계획이 처음 공개된 5·6 대책에서 전제 조건을 '장기 정체된 정비구역'으로 제한했기 때문이다. 

현재 도시재생 사업을 진행 중인 창신동은 이런 전제 조건에 부합되는지 불투명하다는 것이다. 

 

김신겸 창신동 운영위 공동대표는 "국토부가 도시재생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공공재개발 사업을 도시재생 인정사업에 편입했다고 들었다"라며 "공공재개발을 통해 창신동의 도시재생 사업을 완성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공공재개발 후보지 공모 기간을 거쳐 도시재생 사업이 진행 중인 곳에 대한 참여 가능성을 검토하겠다"라고 밝혔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