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21일)은 22번째 절기인 동지(冬至) 로 연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음력 11월 중기, 양력 12월22일경이다.
한국세시풍속사전에 따르면 12월 22일이 음력으로 동짓달 초순에 들면 애(兒)동지, 중순에 들면 중(中)동지, 하순에 들면 노(老)동지라고 한다. 올해 동지는 음력 11월7일이라서 애동지에 해당한다.
흔히 동지에는 팥죽을 먹지만, 애동지는 팥을 즐기는 풍습이 다르다. 애동지 때 아이가 있는 집에서는 아이 귀신을 쫓는 '축귀' 음식인 팥죽을 먹으면 아이에게 탈이 난다고 여겨, 팥죽을 해 먹지 않고 팥떡을 해 먹는 풍속이 일반적이다.
다만 최근에는 이러한 믿음이 옅어져 음식을 크게 가리는 편은 아니다.
우리 민족이 동지에 팥죽을 먹기 시작한 이유는 동지가 '한해 중 밤이 가장 길어 음의 기운이 가득해 원혼이 활동하기 좋은 날' 이라는 믿음과 관련이 있다.
이런 풍습은 6세기 중국에서 쓴 '형초세시기' 에 나오는 설화와도 연관이 있다. 중국 고대 전설에 등장하는 천신 홍공씨의 아들이 동짓날 죽어 귀신이 됐는데, 아들이 팥을 싫어해 동짓날 팥죽을 쑤어 쫓았다는 내용이다.
민간에서는 동지를 흔히 '아세(亞歲) 또는 '작은 설' 이라고 불렀다.
태양의 부활이라는 큰 의미를 지니고 있어서 설 다음가는 작은 설로 여기는 것이다. "동지 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살 더 먹는다"는 말이 풍속처럼 전해져오는 이유다.
또 동지는 날씨가 춥고 밤이 길어 호랑이가 교미한다고 해서 '호랑이 장가가는 날'이라고도 부르고 있다.
'생활상식및화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래방·헬스장 300만 원, 식당·PC방 200만 원.. 초등생 돌봄비는 추진 중. 3차 재난지원금 (0) | 2020.12.27 |
---|---|
서울시, '5인 이상 집합금지' 명령.... (0) | 2020.12.21 |
사업자 등록증 업종 추가에 대하여 .... (0) | 2020.12.19 |
코로나19 무료검사소 위치 확인.. 누구나 무료검사 (0) | 2020.12.16 |
PC방 폐업 50% 급증.. 음식점은 "새 주인 못 찾아 그냥 문 연다" (0) | 2020.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