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상식및화제

입춘과 '입춘대길 건양다경' 이란 무엇...

728x90
반응형

입춘은 1년을 24개로 구분한 24절기 가운데 첫 번째 절기

음력 1월, 양력 2월 4일경이며, 태양의 황경이 315°에 와 있을 때이다.


◆ 입춘

설 입(立), 봄 춘(春)
"봄을 세우다", "봄에 들어서다"

입춘일은 농사의 기준이 되는 24절기의 첫번째 절기이기 때문에 보리뿌리를 뽑아보고 농사의 흉풍을 가려보는 농사점을 행한다. 또, 오곡의 씨앗을 솥에 넣고 볶아서 맨 먼저 솥 밖으로 튀어나오는 곡식이 그해 풍작이 된다고 한다.

◆ 입춘첩이란?

'봄이 시작되었음을 자축하며 한 해의 복을 비는 글귀'를 써놓은 종이가 '입춘첩' 입니다. 예로부터 입춘이 드는 시간에 맞춰 집의 기둥이나 대문에 입춘첩을 붙이며 한해의 행운과 건강을 비는 풍속이 있었습니다.

대표적인 입춘첩 문구로는 '입춘대길 건양다경 立春大吉 建陽多慶' 이 있습니다.
<봄이 되니 크게 길하고, 따스한 기운이 도니 경사가 가득하리라>는 뜻이지요.


◆ 입춘 절식

입춘 절식이란 입춘 절기에 먹는 음식을 말하며 대표적으로 <오신채五辛菜> 가 있습니다. 오신채는 다섯 가지 매운맛니 나는 나물로 '오신반'이라고도 합니다. 다섯가지 색의 나물로 이루어진 오신채를 먹으면 다섯가지 덕(인예신의지)를 갖추게 되며 몸과 마음이 균형과 조화를 이루게 된다고 믿었습니다.

-오신채 나물 종류 : 당귀싹, 미나리 싹, 무싹, 파, 마늘 순, 달래, 부추, 유채 등 봄철에 나는 채소의 새순이나 싹이 있습니다.
-오신채에는 음양오행의 뜻을 담아 다섯 가지 색의 나물로 먹었습니다. 오색은 (청,적,황,흰,흑)으로 (인,예,신,의,지)를 의미합니다.

◆ 입춘대길 건양다경 붙이는 방법

정문에서 입춘대길은 오른쪽에 붙이고 건양다경은 왼쪽에 붙이는 것 입니다.
입춘축 붙이는 날은 2월 4일 오전 5시 51분으로 이시간이 태양 황경 315도에 이를 때라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