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인보다 광고 출연료가 적을 것으로 생각하는데 실상은 그렇지 않다.
유명 유튜버 광고출연료는 책정 단가 외 옵션과 형태에 따라 더 올라간다. 광고 한 번에 수천만 원은 기본이다"(광고업계 관계자)
유명 유튜버들의 수입이 베일을 벗고 있다. 유튜버 등 1인 크리에이터들의 광고비는 이미 연예인 뺨치는 수준으로 치솟았다. 광고 시장의 중심이 TV 방송에서 온라인, 특히 모바일 중심으로 옮겨간 탓이다.
유튜버 등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들의 첫 종합소득 신고 내역이 공개됐다. 상위 1% 고수입자(2019년 기준)는 총 27명으로, 1인당 평균 6억 7100만 원을 벌어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 '2019년도 1인 미디어 창작자 수입 금액 현황'에 따르면 전체 수입액은 875억 1100만 원(2776명)으로, 1인당 평균 3152만 원을 벌어들였다.
이 가운데 상위 1%에 해당하는 27명의 수입액은 총 181억2500만원으로, 1인당 평균 수입액은 6억 7100만 원을 기록했다. 상위 10%에 속하는 277명의 수입액은 598억 8600만 원이었으며, 1인당 평균 2억 1600만 원이었다.
온라인 플랫폼이 급성장하며 유명 유튜버 등 1인 크리에이터의 수입도 크게 늘고 있다. 광고 수입의 경우 편당 수백~수천 만원을 호가한다. 조회수 및 구독자에 따라 수익은 더욱 크게 늘어난다.
특히 광고 시장의 중심이 TV에서 모바일로 이동하며 유명 유튜버의 몸값이 천정부지로 솟고 있다.
얼마전 유출된 크리에이터·채널 소속사 A사의 내부 자료에 따르면 유명 유튜버들의 광고 한 편당 단가가 최대 6000만 원에 달했다. 크리에이터가 브랜드 요청에 따라 기획·편집해 채널에 게재하는 '브랜디드 콘텐츠'는 편당 단가가 300만~6000만원에 이른다.
영상 속에 제품이나 서비스를 잠시 노출하는 단순 PPL(제품 간접광고) 단가 또한 편당 300만~2700만 원 수준이다.
이 밖에 광고 모델,오프라인 행사, 인스타그램, 자체 중간 광고 등 광고 유형도 다양하다.
또 다른 B사의 책정 단가도 구독자 수에 따라 나뉜다. 5만~20만 유튜버가 브랜드와 컬래버레이션을 할 경우 2000만 원 선이다. ▷20만 명 이상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버의 경우 3000만 원 ▷40만 명 이상은 3500만 원 ▷60만 명 이상은 4000만 원
▷80만 명 이상은 4500만 원 ▷150만 유튜버는 한 회당 모델비 6000만 원이다.
이밖에 ▷뷰티&스타일 ▷엔터테인먼트 ▷게임&스포츠 ▷푸드&트래블 등 콘텐츠 속성에 따라서도 단가가 나뉜다. 가장 광고비가 높게 책정된 분야는 뷰티&스타일 분야로 알려져 있다.
양경숙 의원은 "유튜버는 초등학생 장래희망 1위일 정도로 인기가 높고 엄청난 조회수로 고소득을 올리는 채널도 늘어나고 있다"며 "실제 광고 수입금액을 누락시켜 고액의 수입을 올리고도 수입을 탈루한 유튜버가 적발된 사례도 있다"라고 전했다.
'경제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차 지원금 '소상공인 지원 최대 400~500만원선 검토..이번주 결론 날듯 (0) | 2021.02.21 |
---|---|
기니, 에볼라바이러스 유행 선포 [에볼라바이러스 관련주는] (0) | 2021.02.15 |
SK이노베이션 "ITC 결과 미국 대통령 거부권 희망" (0) | 2021.02.11 |
'스포티파이' 국내 상륙..세계 음원스트리밍 최강자. (0) | 2021.02.02 |
"싸이월드" 드디어 재개.. 도토리는 "가상화폐"로... (1) | 2021.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