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GTX-B로 연결 가능"
민간사업자 협의 필요.. 확정 아냐
정부가 '김부선(김포~부천선)'으로 불리며 논란을 빚고 있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D노선의 일부 열차를 서울 여의도 및 용산까지 연장 운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16일 "GTX-D노선 열차 중 일부를 GTX-B노선(인천 송도~경기 남양주 마석)과 선로를 같이 쓰는 방식으로 여의도 또는 용산역까지 운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국토부는 지난달 4차 국가 철도망 구축 계획을 발표하면서 GTX-D노선을 경기 김포 장기에서 부천종합운동장까지만 연결한다고 밝혔다. 경기도와 인천시는 당초 GTX-D노선의 서울 강남 통과를 요구했었다. 기대보다 대폭 축소된 노선이 발표되자 김포 주민들을 중심으로 "김부선이 웬 말이냐"는 반발이 거세게 일었다.
다만 이 관계자는 "GTX-D노선 연장 문제는 GTX-B노선의 민자 사업자가 정해지면 그 쪽과 협의해야 하는 사안이어서 (현시점에서) 서울까지 연결된다고 말하긴 섣부르다"며 "수도권 서부권 주민의 교통 편의를 위해 적극적으로 검토 중인 것은 맞다"라고 했다.
GTX-B노선의 사업 추진 속도가 더디다는 점도 문제다. 2011년 2차 국가 철도망 구축 계획에 포함됐던 GTX-B노선은 2019년 어렵사리 예비타당성조사의 문턱을 넘었지만 아직까지 기본 계획도 완성되지 않은 상태다.
국토부는 GTX-D노선이 다른 노선과 만나는 지점에는 환승에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평면 환승'을 도입하는 방안도 연구 중이다. 이 방안이 현실화하면 김포나 인천 검단에서 GTX-D노선 열차를 타고 환승 없이 여의도 또는 용산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 국토교통 데이터베이스(DB) 등에 따르면 김포·검단 주민의 통근 지역이 서울 마포구와 영등포구 등에 집중 돼 있어 수도권 서부 주민의 통근 문제도 상당 부분 해소될 것으로 국토부는 보고 있다.
하지만 GTX-D노선이 당초 지방자치단체 요구안대로 강남을 거쳐 경기 하남으로 직결돼야 한다는 주민 목소리가 여전히 높아 성난 민심이 가라앉을지는 미지수다. 국가 철도망 계획을 발표해놓고 선거 등을 위해 뒤집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될 수 있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여의도 또는 용산으로 연결하는 미봉책만으로 불만이 가라앉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당초 예상했던 대로 강남을 지나 하남까지 가지 못한다면 반발이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라고 말했다.
'부동산.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레니엄힐튼 서울호텔 40년 만에 '역사속으로' (0) | 2021.05.25 |
---|---|
'젠트리피케이션'의 뜻과 어원은? (0) | 2021.05.23 |
"마지막 기회 잡았다"...'도심공공개발 1호' 증산4구역은 '축제' (0) | 2021.05.15 |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3차 후보지...대구 남구·달서구 각 1곳+ 부산진구 2곳 (0) | 2021.05.13 |
전원주택도 1가구 2주택이라니..6월 전 팔아야 하나 속앓이 (0) | 2021.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