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공약한 10년 만기로 1억원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는 '청년도약계좌' 도입 가능성이 주목된다.
13일 정치권과 금융권에 따르면 윤석열 당선인 캠프 측은 기존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도 청년도약계좌로 바꿀 수 있는 길을 마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만 19~34세 청년이 매달 70만원 한도 안에서 월정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월 최대 40만원씩을 지원해 10년 만기로 1억원을 만들어주는 상품이다.
가입자들은 주식형·채권형·예금형 등 3가지 투자 운용 형태 가운데 한 가지를 선택해 신청할 수 있다. 이는 청년희망적금과 지원 대상 및 연령 기준은 같지만 소득 요건별 가입 제한을 두지 않았다.
대신 연령별 지원 금액에 차등을 두었다. 연소득 2400만원 이하 가입자가 매월 최대 30만원을 저축하면, 고정적인 정부기여금 20만원에 저축 비례 정부기여한도 최대 20만원을 더해 최대 70만원을 납입할 수 있다.
연소득이 2400만원을 초과하는 청년부터는 고정 정부기여금이 지원되지 않는다. 연소득이 2400만~3600만원이라면 가입자는 매월 최대 50만원을 저축할 수 있고, 저축 비례 정부기여한도 최대 20만원을 더해 최대 70만원을 넣는다.
연소득 3600만~4800만원은 가입자가 최대 60만원을 납입할 수 있고, 정부의 저축비례 기여한도는 최대 10만원이다.
연소득이 4800만원 이상이라면 정부 재정 지원 없이 비과세 혜택만 받을 수 있다. 가입 기간에 소득이 늘어나면 자동으로 다른 구간의 혜택이 적용된다.
중도 인출과 재가입도 가능하다. 생애 최초로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 장기간 실직하거나 질병등로 장기간 휴직하는 경우, 재해를 당한 경우 등이 이에 해당된다.
'경제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 간단히 알아보기 (0) | 2022.03.28 |
---|---|
외화입출금시 '은행 스위프트 코드(swift code)'란 무엇이며, 은행별 코드 알아보기 (0) | 2022.03.18 |
현대, 중고차 진출 공식화... 5년/10만km 자사차량만 (0) | 2022.03.08 |
은행의 역사와 원리...'지급준비율' 과 '뱅크런' 알아보기 (0) | 2022.03.04 |
소상공인 손실보상금 본지급 3일부터 신청.. 누가, 얼마나 받을수 있나.. (0) | 2022.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