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5%, 내년 7% 점유율 제한
소비자단체는 반기는 분위기
현대차가 '구매 후 5년 이내이면서 주행거리 10만km 이내'의 자사 브랜드 차량을 매입해 200여 개 항목의 품질 검사를 통과한 차만 인증해 온라인으로 판매하겠다는 중고차 사업 청사진을 7일 밝혔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이달 내로 중고차업이 '생계형 적합 업종'에 해당되는지 심의할 계획인데, 해당되지 않는다는 결정이 나오면 곧바로 사업을 개시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차는 7일 이 같은 사업 방향을 처음으로 공개하고, 중고차 시장 진출을 공식화했다.
현대차는 "제조사로서 기술력을 활용해 성능검사와 수리를 거친 인증중고차만 시장에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인증중고차 전용 하이테크센터'를 구축해 정밀 진단·정비·내외관 개선을 전담하기로 했다.
판매는 온라인으로 한다. 360도 가상현실(VR)로 차량 하부와 내외부 상태를 직접 보고 계약할 수 있는 '온라인 가상 전시장'을 구축하고, 차는 집 앞으로 배송해준다는 계획이다.
현대차는 고객이 타던 차를 팔면 신차 구매 시 할인해주는 보상판매 '트레이드 인' 프로그램도 선보일 예정이다.
현대차는 가칭 '중고차 연구소'라는 이름의 중고차 종합 포털도 구축할 계획이다. 국토부·보험개발원 등의 정보를 한데 모아 전체 중고차 시장에 나온 매물의 성능, 사고 이력, 침수 여부, 결함·리콜 내역, 허위매물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흩어져 있던 정보를 한데 모아 제공하면 시장 투명성이 높아지고 중고차 시장도 활성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는 중고차 업계 반발을 고려해 중고차 시장점유율을 올해 5%, 2023년 7%, 2024년 10%(국내 완성차 5개사 기준)로 제한하겠다고 밝혔다.
현대차의 중고차 시장 진출에 소비자들을 대체로 반기는 분위기이지만 중고차 업체는 '골목상권 침해'라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소비자단체인 '자동차 10년타기연합' 임기상 대표는 "중고차 시장은 정보 비대칭 문제가 심각했는데 현대차가 검증했다고 하면 믿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지해성 한국자동차매매사업조합연합 사무국장은 "현대차가 중고차 보상 프로그램을 운영하면 현대차 쏠림 현상이 더욱 강화되고 영세한 중고차업계는 결국 시장에서 밀려날 것"이라고 말했다.
쌍용차·한국GM·르노 등 기존 완성차 업계도 현대차의 시장 지배력이 강화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한 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그룹이 사실상 국내 시장의 70% 가량을 장악하는 상황에서 중고차 시장까지 진입하게 되면 독점력이 더욱 강화될 것"이라며 "시장 경쟁이 사라지면 완성차나 중고차 가격이 더 오르는 것은 물론이고, 산업 생태계도 훼손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제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화입출금시 '은행 스위프트 코드(swift code)'란 무엇이며, 은행별 코드 알아보기 (0) | 2022.03.18 |
---|---|
청년도약계좌는 무엇인가.. 간단히 알아보기 (0) | 2022.03.13 |
은행의 역사와 원리...'지급준비율' 과 '뱅크런' 알아보기 (0) | 2022.03.04 |
소상공인 손실보상금 본지급 3일부터 신청.. 누가, 얼마나 받을수 있나.. (0) | 2022.03.02 |
매출감소 법인택시 기사에 '1인당 100만원' 지원금 (0) | 2022.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