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일반

25년부터 '4등급 경유차' 서울 사대문 안 운행제한..조기폐차(400만원)지원

728x90
반응형

2025년부터 4등급 경유차도 서울 사대문 안 운행이 제한됩니다.
배달용 오토바이와 마을버스, 택배 화물차도 전기차로 전환됩니다.
4등급 경유차 조기폐차지원(400만원)



서울시가 대기오염물질 감축을 위해 2025년부터 사대문 안 운행 제한 경유차를 현행 5등급에서 4등급으로
확대하기로 결정되었기 때문입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8일 시청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대기질 개선 종합대책 '더맑은 서울2030'을 발표하였습니다.

이번 대책은 오 시장이 2007년 발표한 '맑은서울 2010'을 손질해 15년 만에 내놓은 후속 방안이며, 공해 유발 경유차 퇴출에 속도를 내고 난방시설, 공사장, 소규모 사업장 등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생활주변시설 관리를 강화하는 데 방점을 두었다고 합니다.

5등급 경유차의 운행제한을 2025년 서울 전역.연중으로 확대합니다. 현재는 녹색교통지역(사대문 안)에서 연중으로, 계절관리제 기간에만 전역에서 운행 제한이 이뤄지고 있는 상태입니다.

이와 함께 전국 최초로 4등급 경유차까지 운행제한을 확대합니다. 2025년부터 4등급 경유차의 녹색교통지역 운행을 제한하고, 2030년에는 서울 전역으로 운행제한 범위를 늘릴 계획이라고 전해집니다.


◆ 4등급 경유차 조기폐차 비용지원

4등급 경유차는 2006년 배출가스 기준(유로4)이 적용된 차량으로, 3등급 차량보다 미세먼지 발생량이 6배 가까이
많다고 합니다. 현재 서울에 저공해 조치가 되지 않은 4등급 경유차량은 8만 1천139대에 이릅니다.

운행제한에 앞서 내년 하반기부터 비상저감조치 발령 시 4등급 차량 운행제한을 시범적으로 시행하며,
매년 1만대씩 4등급 경유차의 조기폐차비용(대당 400만원)을 지원하는 사업도 내년 시작한다고 하네요.


◆ 경유차의 저공해차 전환

배달용 오토바이(3만3천400대)는 2025년까지, 경유 마을버스 457대와 택배 화물차(6천100대)는 2026년까지
모두 전기차로 교체하며, 경유 청소차(2천373대)는 2030년까지 순차적으로 저공해차로 전환할 방침이랍니다.

시는 저공해차 전환을 위해 배달 플랫폼과 협업해 전기 이륜차를 이용하는 배달노동자에게 저렴한 보험상품을 제공하고, 2025년까지 서울 전역에 공중전화부스를 활용한 배터리 교환형 충전소 3천기를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서울에 진입하는 경기.인천 버스의 저공해차(CNG 및 전기버스)전환을 위해 지자체 간 협력도 강화하며,
초미세먼지 주요 배출원인 난방.사업장, 비산먼지, 건설기계와 관련해선 노후 건설기계 사용 제한을 2025년부터 연면적 1만㎡ 공사장으로 확대하기로 하였습니다.

가정용 보일러 301만대 전체를 2030년까지 친환경으로 교체하고, 미세먼지와 오존 발생 원인물질(VOCs)을 배출하나 규제대상에서는 제외된 소규모 사업장까지 저감시설 설치를 지원하기로 하였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