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일반

베블런재과 열등재 란 무엇인가..

728x90
반응형

◆ 베블런재의 뜻과 유래

 

소스타인 베블런(Thorstein Veblen. 1857~1929)은 1899년에 출간한 자신의 저서 <유한계급론>을 통해 

과시하기 위해 값비싼 재화를 구매하는 사람들과 유한계급을 비판했습니다. 

그는 '과시적 소비'라는 용어로 사치품을 소유하고자 하는 인간의 욕구를 설명했습니다. 

소스타인 베블런

어떤 재화는 낮은 가격이 낮은 사회적 지위를 상징합니다. 

그리고 사람들은 그러한 재화에 가치를 두지 않습니다. 

반면 높은 가격이 높은 사회적 지위를 상징하는 재화는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고자 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각광받습니다. 

 

비싼 물건일수록 아무나 가질수 없습니다. 

값비싼 물건을 구매하고 전시할 수 있으면 대외적으로 성공을 과시하고, 

더 나아가 상위 1%에 드는 것처럼 보이게 할 수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베블런재로 미술품, 호화로운 자동차, 값비싼 보석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에게 효용보다 가격이 높은 베블런재를 구매하는 것은 비이성적인 행동입니다. 

하지만 어떤 사람에게 베블런재의 효용은 값비싼 물건이 상징하는 위신과 사회적 지위에 있습니다. 

사람들은 미술에 대해 잘 알지도 못하면서 판매자가 높은 가격을 매기면 좋은 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 

 

◆ 열등재의 뜻과 유래

 

열등재는 소득이 증가할수록 덜 사게 되는 재화입니다. 

열등재의 개념은 이치에 맞지 않아 보이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사람은 소득이 증가하면 더 많은 재화를 구매합니다. 

소득 증가가 구매 증가를 의미하는 재화를 정상재라고 합니다. 

 

만일 빠듯한 예산으로 장을 봐야 한다면, 가장 저렴한 빵을 살것입니다. 

하지만 소득이 늘면 더 좋은 빵을 사고 싶어질 것입니다. 

수요의 소득탄력성은 소득의 변화가 재화의 수요에 가져오는 영향을 측정합니다. 

소득이 증가하면 모두가 더 많은 재화를 살 수 있습니다. 

베블런 '유한계급론'

시외버스는 열등재를 설명하기에 좋은 예입니다. 

일반적으로 시외버스는 가장 저렴한 동시에 가장 느리고 가장 불편한 교통수단입니다. 

시외버스는 열등재이기 때문에 학생들이나 저소득층이 주로 이용합니다. 

하지만 그들도 급여가 높아지게 되면 더 이상 시외버스를 이용하지 않고 개인 자동차나 고속기차를 이용할 

것입니다. 

▷경제성장과 열등재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저렴하면서도 영양이 풍부한 통조림 식품이 식탁에 자주 올랐습니다. 

하지만 경제가 성장하고 소득이 늘면서 소비자들은 통조림 식품 대신 신선한 야채와 고기를 소비했습니다. 

 

경기불황기에 소득이 감소하면 통조림 식품 같은 열등재의 수요가 증가합니다. 

2009년 경기불황기에 미국에서는 통조림 식품 수요가 11% 늘었습니다. 

 

-출처 : "경제학 무작정 따라하기" 중에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