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달라지는 부동산 제도
분양권도 보유 주택수에 포함
종부세 세율 최대 2.8%p 올라··· 부부 공동명의땐 공제방식 선택
분양권 전매 위반땐 청약 10년 제한
◆ 2021년 달라지는 부동산 제도
1월 |
종합 부동산세 |
부부공동명의 공제방식 선택 세율 인상 및 세 부담 상한 변경 고령자 공제율 상향 |
양도세 |
최고 세율 인상 1가구 1주택 비과세 산정방식 변경 분양권, 주택 수에 포함 장특공제 거주요건 추가 법인 보유 주택 추가세율 인상 |
|
청약 |
신혼부부, 생애최초 특별공급 요건 완화 특별공급 내 일반공급 물량 확대 전매행위 위반자 청약자격 제한 분상제 아파트 당첨자 거주 의무기간 신설 |
|
2월 |
||
6월 |
양도세 |
2년 미만 보유 및 조정대상지역 다주택자 세율 인상 |
|
임대차 |
전월세 신고제 시행 |
7월 |
청약 |
사전청약 제도 시행 |
미정 |
재건축 |
조합원 분양신청 자격 강화 안전진단 절차 강화 |

내년 1월부터 주택 양도소득세의 최고세율이 45%로 3%포인트 오른다. 종합부동산세 세율도 최대 2.8%포인트 인상해 다주택자의 투자수요를 억제한다. 신혼부부나 생애 최초 특별공급 소득 기준은 완화돼 청약의 기회가 커진다.
21일 부동산 정보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새해에는 시장 안정화를 위해 세금과 청약, 정비사업 등 부동산 관련 다양한 분양에서 변경된 제도들이 시행을 앞두고 있다.
양도세의 최고세율은 내년 1월부터 기존 42%(과세표준 5억 원 초과)에서 45%(과세표준 10억 원 초과 구간 신설)로 상승한다. 또 조정대상지역의 주택 양도세 부과 때 분양권을 주택 수에 포함한다.

1가구 1주택자의 양도세 비과세 보유 기간 산정방식도 변경(일시적 2주택 예외) 된다. 비과세 혜택을 받으려면 해당 주택 취득 시기가 아닌, '다른 주택을 모두 판 후 1주택자가 된 날'로부터 2년 이상 보유해야 한다.
1가구 1주택자의 장기보유 특별공제 산정 방식에는 거주 기간을 추가한다. 기존에는 보유기간에 따라 연 8%씩 최대 80%의 혜택을 받았다. 내년부터는 세율 혜택을 보유 기간 연 4%, 거주 기간 연 4%로 나눈다.
보유 기간에 따른 양도세율은 인상된다. 현재 1년 미만 보유한 주택은 40%, 2년 미만 보유한 주택은 기본세율을 적용해 왔다. 내년 6월 이후 양도분부터는 1년 미만 보유 70%, 2년 미만 보유 60%의 단일세율을 적용한다.
종부세 세율은 내년 1월부터 인상한다. 과세표준 구간에 따라 2주택 이하 보유자는 최대 0.3%포인트, 3주택 이상 및 조정대상지역 2주택자는 최대 2.8%포인트 오른다.

만 60세 이상 고령자의 연령별 종부세 공제율은 구간별로 10%포인트씩 올려 최고 40%로 상향한다. 장기보유 특별공제(최고 50%) 혜택을 합한 최대 공제 한도는 기존 70%에서 80%로 조정된다.
아울러 1주택을 공동명의로 보유한 부부는 종부세 공제 방식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기존처럼 부부가 각각 6억 원씩 공제받거나, 1가구 1주택자와 같이 9억 원을 공제받은 후 고령자 공제 등을 적용받을 수도 있다.
공시 가격 12억 원까지는 기존 방식, 12억 원을 넘는 주택은 1가구 1주택자 공제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청약시장에서 신혼부부 및 생애최초 특별공급 제도의 소득 기준은 완화한다. 민영주택의 경우 신혼부부는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의 120%(맞벌이 130%) 이하에서 140%(맞벌이 160%) 이하로 변경한다.

생애최초 특별공급 기준은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의 130%에서 160%로 바뀐다.
내년 2월 19일부터는 분양권 전매 제한을 위반하거나 알선한 사람의 청약자격이 10년 동안 제한되고,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된 아파트의 당첨자는 최소 2년 이상 거주해야 한다.
아울러 ▶ 전·월세 신고제(내년 6월) ▶ 조합원 분양신청 자격 강화(시기 미정), 안전진단 절차 강화(시기 미정) 등의 제도 역시 내년에 시행될 예정이다.
'각종세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업자등록상 종목과 업태는 무엇이며.. 어떤걸 선택해야 하나? (0) | 2020.12.23 |
---|---|
국세 권리보호 요청 제도란?.. 무엇인가? (0) | 2020.12.23 |
간이과세자→ 일반과세자, 미리 챙겨야 할 세금 정보 (0) | 2020.12.19 |
자동차세 이달 말까지··자동차세 간단 납부 방법.. (0) | 2020.12.18 |
자동차세 연납/분납 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0) | 2020.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