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일반

마이클 포터의 '5 Forces'는 무엇일까요..

728x90
반응형

마이클 포터는 기업이 처한 상황 내지 환경의 내용 중에서도 '산업구조'라는 개념에 집중했습니다.

한 개인의 성공에 있어 각자의 능력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일종의 배경 조건(부모의 소득, 인맥 등)인 것처럼 기업의 성공에도 그 기업이 어떠한 경쟁 환경에 놓여 있는지가 중요하다는 것이 포터의 주장입니다.
쉽게 말하면, 기업의 성공은 그 자체의 노력보다 그 기업이 어떤 조건에 놓여 있는냐가 더 중요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포터는 산업 분야 환경을 유리하게 또는 불리하게 만들 수 있는 구조적 요인으로 다섯 가지를 꼽았고 이를 '5-Forces(다섯 가지 경쟁적인 힘)'라 불렀습니다. 포터에 따르면 이 다섯 가지 요인에 의해 특정 산업의 수익률이 결정됩니다. 하나씩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5-Forces(5가지 힘)

1. 기존 기업과의 경쟁 : 현재 같은 시장 경쟁자들과 얼마나 치열하게 경쟁을 벌이고 있는지의 여부는 산업매력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경쟁자 수가 많거나 혹은 적더라도 그들과 모든 측면에서 경쟁을 벌여야 한다면 기업 입장에서 해당 산업은 불리한 환경이 된다.

2. 대체재의 위협 : 대체제는 우리 기업의 제품과 사실상 같은 효과를 갖는 제품. 즉 소비자가 쉽게 갈아탈 수 있는 제품을 뜻한다. 서울에서 부산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이때 국내선 항공기를 이용할 수도 있고, ktx를 이용할 수도 있다. 비행기와 ktx는 직접적인 경쟁자가 아니지만 사실상 서로의 효과를 대신할 수 있어 대체재 관계라 할 수 있다.
이처럼 다른 기업이 생산한 제품이 우리 제품과 사실상 동일한 만족감을 소비자에게 제공한다면 소비자의 선택 가능 대안이 증가하므로 우리 기업의 수익성은 떨어질 수 밖에 없다.


3. 잠재적 진입자의 위협 : 특정 산업에 대한 진입장벽도 중요한 고려 대상이다. 진입장벽은 해당 산업 분야로의 진출을 막는 장애 요인을 뜻한다. 정부 규제가 심해 아무나 시장에 진출할 수 없거나, 해당 부냥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고도의 지식과 기술 등이 필요해 신규 기업이 따라잡기 힘들다면, 신규 시장 진입자가 적을 것이다.
이 경우 이미 해당 시장에 진출한 기업들은 비교적 높은 수익을 낼 수 있지만, 외부 기업의 경우 기존에 형성된 강력한 진입장벽을 뚫기가 쉽지 않다.

4. 구매자의 교섭력 : 구매자는 우리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고객이나 다른 기업을 뜻한다. 만약 구매자가 가격에 예민해 큰 폭의 할인을 자주 요구하거나 제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 거래 기업을 쉽게 교체한다면 우리 기업의 수익률이 떨어질 수도 있다.

5. 공급자의 교섭력 : 공급자는 우리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 생산에 필요한 원재료나 비품 등을 판매하는 고객이나 다른 기업을 뜻한다. 구매자와 마찬가지로 공급자의 협상능력 역시 수익률에 큰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어떤 원재료를 사용해도 좋다거나 원재료가 일상재(commodity), 즉 평상시에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제품이라면 해당 원재료를 납품하는 공급자가 낮은 가격으로 납품하게 되므로 공급자의 수익은 줄어들고, 우리 기업의 수익은 상대적으로 증가한다.


지금까지 살펴본 다섯 가지 요인 중 세 가지(기존 기업, 대체재, 잠재적 진입자)는 현 산업에서 생산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직접적인 경쟁 항목으로, '수평적 경쟁 요인'으로 분류합니다. 한편 나머지 두 가지(구매자, 공급자)는 한 산업과 가치사슬로 얽혀 있는 경쟁 항목으로, '수직적 경쟁요인'으로 분류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