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일반

조직관리 관점, '베버의 관료제론'

728x90
반응형

막스 베버(1864~1920)

독일의 사회학자, 관료제 이론을 집대성하였으며, <프로테스탄티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직업으로서의 정치>등의 저서를 남겼다. 

 

막스 베버는 조직 전체를 관리하는 방식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거시적 이론입니다.


◆ 베버의 관료제론

 

▷조직을 관리하기 위한 세가지 권한

 

관료제(bureaucracy)는 절대왕정기 이후 근대서구사회에서 가장 두드러진 현상이자, 베버가 가장 이상적이라고 생각한형태의 조직입니다. 베버는 정부 조직의 합리적,능률적 운영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관료제는 역사 흐름에 따라 인간이 다른 인간을 통제하는 방식이 진화되는 과정에서 등장한다고 보았습니다. 

베버에 따르면 조직을 관리하고 구성원을 통제하는 공식적 힘이라 할 수 있는 권한(authority)의 형태는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1. 카리스마적 권한 : 지배자에 대한 개인적인 헌신과 충성을 바탕으로 한 권한이다. 카리스마를 지닌 지배자와 헌신적인 피지배자 사이에는 매우 개인적이고 밀접한 관계가 존재한다. (예 : 전제군주..)

 

2. 전통적 권한 : 신성하게 여겨지는 전통(tradition)이 규정하는 범위 내에서 지배자가 행사하는 권한이다. 

지배자의 통치 행위에 피지배자는 무조건적으로 복종하게 된다. (예: 영주..)

 

3. 합리적,법적 권한 : 조직의 규범적 규칙이 합리적이고 합법적으로 제정되어 그에 따르는 것이 정당한 것으로 간주되는 권한이다. 여기서의 복종은 어느 특정 지배자나 개인을 향한 것이 아니라, 규칙과 규정을 향한 것으로 정당화될 수 있는 시스템적인 행위다. (예: 대부분의 현대 조직)

 

베버는 역사적 발전에 따라 위 세 유형의 권한이 순서대로 발현되다고 보았습니다. 합리적,법적 권한을 기초로 하는 관료제를 조직구조로 정할 때 비로소 가장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조직이 이루어진다고 주장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