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드릭 허츠버그(1923~2000)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경영학자, 2요인이론 및 직무충실화 개념으로 유명하다.
1. 동기 요인 (motivator)
직무만족에 영향
만족의 유발원인, 동기 요인이 없다고 해서 불만이 생기지는 않는다.
2. 위생 요인 (hygiene)
직무불만족의 요인
불만족의 발생 원인, 위생 요인이 충족된다고 해서 만족이 증가하지는 않는다.
프레드릭 허츠버그는 직무만족에 깊은 관심을 가진 학자였습니다.
상식적으로 만고과 불만족은 반대 개념이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허츠버그는 불만을 제거한다고 해서 바로 만족이 증진되는 것은 아닐 수도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즉 사람에게 만족을 가져다주는 요인과 불만족을 가져다주는 요인이 전혀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한 것입니다.
그래서 그의 이론을 '2요인이론(two-factor theory)', 즉 '두가지 원인에 관한 이론'이라 부릅니다.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Harvard Business Review)>에 발표한 허츠버그의 연구에 의하면, 일을하며 느끼는 성취감, 상사나 동료로부터의 인정이나 칭찬, 일 자체, 직무 수행 과정에서 느끼는 책임감, 자신의 성장과 발전 등이 만족의 원인으로 지목되었습니다.
허츠버그는 이것들을 동기 요인(motivational factor) 이라 불렀습니다.
반면 불만족의 원인으로는 회사 정책, 관리 규정, 감독 행위, 임금, 물리적 작업 조건, 상사와 동료와의 관계 등이 지목되었습니다.
허츠버그는 이것들을 위생 요인(hygiene factor)이라 불렀습니다 만족과 불만족의 원인이 다르다는 것은 만족하지 않는 것이 곧 불만족을 뜻하지는 않는다는 의미로, 당시 학자들이 연구해온 내용과는 다른 결론이었습니다.
허츠버그의 연구 이전에는 직원이 회사에 불만을 가지거나 업무에 몰입하지 못할 때, 그 원인을 직원의 개인적 특징(성격, 태도, 정서 등) 탓으로 돌리는 분위기가 강했습니다. 하지만 2요인 이론의 영향으로 현대경영학에서는 만족의 원인이 되는 직무 측면(동기 요인)과 불만족의 원인이 되는 작업 환경 측면(위생 요인)에 모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2요인 이론에 의하면 동기유발을 위해 직원의 책임감을 강조하는 업무 방식의 설계가 필요한 데, 이를 직무충실(job enrichment, 권한과 책임부여)이라 부릅니다. 직무충실은 직원이 상사가 시킨 일만 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업무 계획을 세우고 실천 결과에 대한 검토까지 본인이 할 수 있도록 권한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직무 충실이 잘 이루어진 직원은 회사에서 수동적인 부하가 아니라 능동적인 참여자가 되므로 업무에 대한 동기부여 증진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2요인 이론을 실무에 적용한 직무특성 이론
허츠버그의 2요인이론에서 발견된 동기요인과 직무충실의 시사점을 실제 기업에 적용한 대표적인 학자로는 리처드 해크만과 그레그 올드햄이 있습니다. 이들은 직무특성 중 가장 중요하다고 말한 다섯가지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술다양성(skill variety, 기능다양성) : 얼마나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지를 의미한다. 단순한 작업을 수행하는지를 의미한다. 단순한 작업을 반복하기보다 여러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기술다양성이 크다.
2. 과업정체성(task identity) : 담당 직무가 다른 이들의 직무와 어떻게 연결되어 완결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도다. 상사가 시킨 일만 할 때보다 스스로 계획을 세우고 실천할 때 과업정체성을 크게 느낄 수 있다.
3. 과업중요성(task significance) : 담당 직무가 조직 목표 달성이나 타인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의미한다.
4. 자율성 (autonomy) : 직무의 계획 및 실천에 있어 자유와 독립성이 주어지는 정도를 의미한다.
5. 피드백 (feedback) : 업무를 수행한 뒤 해당 업무수행의 효과성과 적절성에 대한 명확한 정보가 주어지는 정도를 의미한다.
◆ 직원의 성장욕구 강도
◆ 5대 직무특성 - 기술 다양성 - 과업 정체성 - 과업 중요성 - 자율성 - 피드백 |
![]() |
◆ 직원의 심리상태 - 작업에 대한 의미부여 - 직무에 대한 책임감 - 업무활동 결과에 대한 지식 |
![]() |
◆ 결과(성과) - 동기부여 - 작업에 대한 만족도 - 이직과 결근 감소 - 성과 증진 |
'경제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기부여에 관한 이론 '브룸의 기대이론'... (0) | 2022.04.27 |
---|---|
조직관리 관점, '베버의 관료제론' (0) | 2022.04.26 |
알더퍼의 ERG, 동기이론 알아보기 (0) | 2022.04.18 |
메이요의 조직속 인간관계론...호손실험이란.. (0) | 2022.04.16 |
'레온 페스팅거의 인지부조화 이론' 이란... (0) | 2022.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