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일반

애덤스의 공정성 이론 알아보기

728x90
반응형

존 애덤스(1925~)
미국의 행동심리학자, 작업장에서의 동기부여와 그 원천으로서의 공정성을 연구했다.



애덤스는 업무 수행에 투입한 노력(input)과 그로 인해 달성된 보상(output)을 다른 사람과 비교한 결과가 동기부여에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즉 내가 투입한 노력이나 업무 시간에 대해 받는 보상과 다른 사람의 보상이 균형을 이룬다면 이 조직에서의 보상 시스템은 공정한다고 인식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두 사람 모두 동일한 시간급을 받는 경우가 있겠죠.
그러나 만약 비교 결과가 불균형하다면 이를 불편하게 여기고, 그 불편함을 줄여 나가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게 됩니다.

노력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향으로 나타납니다.

1. 회사가 노력의 크기에 비해 많은 보상을 지급 : 노력의 양과 보상의 크기 사이의 균형을 추구하기 위해 노력의 양을 늘리게 된다.

 

2. 회사가 내 노력의 그기에 비해 적은 보상을 지급 : 노력의 양과 보상의 크기 사이의 균형을 추구하기 위해
노력의 양을 줄이게 된다.


애덤스의 동기부여 방식

애덤스의 동기부여 논리는 사람이 불편함을 느낄 때 이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을 한다는 레온 페스팅거의 인지부조화이론에 기초한 것입니다. 이때 불공정은 자신의 비교 대상보다 적은 보상을 받을 때뿐 아니라 많은 보상을 받을 때도 느낍니다.
불공정성을 느꼈을 때, 이를 줄이기 위한 개인의 행동 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노력의 투입이나 산출물 변경 : 노력에 비해 보상이 변변치 않다고 느끼는 사람은 노력을 덜 기울이거나 같은 노력으로 더 많은 생산물을 만드는 방법을 찾게 된다.

2. 지각 왜곡 : 다른 사람의 노력 대비 보상이 더 크다고 느끼면 그 사람이 더 중요한 일을 하고 있을 것이라 합리화 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3. 준거대상 변경 : 자신보다 상대적으로 노력 대비 보상이 부족해 보이는 대상과 비교함으로써 우월감을 가지려 하는 경우가 있다.

4. 상황 변경 : '장(場) 이탈'이라고도 하며, 그 조직이나 부서를 떠나는 것을 의미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