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의 상품과 서비스를 외국과 거래한 기록을 경상수지라고 합니다.
정확히 얘기한다면 가계부이지요.
이걸 토대로 우리는 우리나라가 얼마나 살림을 잘하고 있는지 못하고 있는지를 평가할수 있습니다.
오늘은 경상수지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경상수지 또는 경상계정은 한 개방경제가 다른 무역 파트너들과 재화와 용역을 무역함으로써 발생하는 수입과 수출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국가의 가계부입니다.
일반적으로 개방경제는 국제수지라는 계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자본, 재화 및 용역을 거래하면서 발생한 수익과 비용을 기록하는데 이때 국제수자는 재화와 용역 부문을 기록한 경상수지와 자본의 이동을 기록한 자본수지로 나뉘어집니다.
경상수지에는 외국과 거래한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기록이 포함되며, 그렇기 때문에 외국에 투자한 대가로 받는 이자는 일종의 서비스에 해당된다고 보고 외국과 거래한 자금의 유출입을 기록한 자본수지가 아닌 경상수지에 기록합니다. 다시 말해 이자소득은 자본수지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국제수지 = 경상수지 + 자본수지
경상수지 = 상품수지 + 서비스수지 + 소득수지 + 경상이전수지
경상수지는 상품의 수출입 차이를 나타내는 상품수지와 같습니다. 하지만 국제수지상의 순수출과 관세청에서
발표하는 순수출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국민계정상 국제수지는 상품의 소유권 이전이 이루어진 후 수출입으로 계상하는 반면, 관세청 통계에는 우리나라의 관세선을 통과하는 순간에 수출입으로 잡히기 때문입니다.
서비스수지는 외국과 서비스 거래를 통해 벌어들인 수입과 비용으로 지급한 부분의 차이로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한국의 반도체와 자동차를 선박이나 항공기로 수송하고 외국 수입업자로부터 받은 운임료, 일본인 관광객 등 외국 관광객이 쓰고 간 돈 등이 서비스수지의 수입으로 잡힙니다. 반면에 한국이 쓴 해외여행 경비, 특허권 사용에 따른 로열티 지급비용 등은 서비스 비용으로 계산됩니다.
소득수지는 한국과 외국이 상대방 국가에 대해 각각 직접 투자한 결과 가져가고 가져오는 수입과 비용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또한 한국과 외국의 근로자가 서로 외국 또는 국내에서 벌어들인 수익의 차이도 나타냅니다.
경상이전수지는 거주자와 비거주자 사이에 아무런 대가없이 주고받는 거래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면 해외교포의 송금, 종교기관이나 비영리법인의 기부금, 정부 간 무상원조 등의 이에 포함됩니다.
'경제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계학 '엥겔지수'와 '슈바베지수' 간단히 알아보기 (0) | 2022.10.28 |
---|---|
병행수입(그레이임포트) 간단히 알아보기 (0) | 2022.10.24 |
근대 국제경제학의 기초 '리카도의 비교우위론' (0) | 2022.10.19 |
본원적경쟁 전략 '원가우위,차별화,집중화' 전략 알아보기.. (0) | 2022.10.18 |
구글 클라우드 서비스결제 수단 '가상화폐 결제' 허용 (0) | 2022.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