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일반

캐시미어 뜻과 울(wool)차이점, 종류 간단히 알아보기!!

728x90
반응형

한파가 몰아치는 겨울에는 따뜻한 옷이 필요합니다.

무조건 따뜻하기만 한것이 아닌 스타일도 중요하지요.
군인도 아닌데 무조건 껴입을수도 없습니다.

가끔씩 주변에 캐시미어 옷이라고 자랑하는 사람들이 있기도 합니다.
원단이 좋아보이는 캐시미어는 가격도 천차만별인데요.
상당히 고가의 제품으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오늘은 캐시미어뜻과 종류들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산양


◆ 캐시미어 뜻

캐시미어는 카슈미르 지방, 티베트, 이란 등등에서 기르는 캐시미어 산양의 털을 모아 만들어지는 소재입니다.

캐시미어 양은 강제로 털을 깎아내면 심한 스트레스를 받거나 심할 경우 폐사를 할수도 있어서,
양치기들이 조심스럽게 빗으로 빗겨 모아 만든다고 합니다.

이렇게 조심스럽게 모은 것 중에서도 듀베라는 부분의 털만 옷감으로 사용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듀베는 무엇일까요?

캐시미어 양들은 추운 지방에 서식하기 때문에 이중구조의 털로 자신의 체온을 보호합니다.
바깥쪽은 두툼한 털, 안쪽의 미세하고 짧은 털을 듀베라고 합니다.

이 듀베라는 털이 얇지만 따뜻할 수 밖에 없는것이 공기가 섬유와 섬유 사이에 품어지게 되는데
이 공기층이 보온 효과를 높여주기 때문입니다.

아주 짧고 미세한데다가 공장이 아닌 직접 빗질로 한땀한땀 만들어내기 때문에
전세계 연간 생산량은 500만킬로그램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스웨터 하나를 제작하기 위해선 3~4마리 분량의 털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그러다보니 최근에는 캐시미어와 울, 코튼 등으로 혼방해서 만들어내는 옷이 많아졌습니다.

캐시미어 원단

반응형


◆ 캐시미어 뜻 (특징)

캐시미어의 특징은 부드럽고, 가볍고, 따뜻한 특성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가벼운 무게에도 불구하고, 캐시미어는 매우 따뜻합니다.
단열, 공기, 체온을 잡아주어 추운 날씨의 옷에 사용하기에 완벽합니다.

내구성이 뛰어납니다.

캐시미어는 튼튼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소재로 마모에 견딜 수 있어 자주 착용하는 의류 아이템에 이상적입니다.

캐시미어 섬유는 천연 저자극성으로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아 민감한 피부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합니다.
또한 피부를 건조하고 편안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천연 수분 윅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캐시미어 의류는 다양하고 위아래로 입을 수 있어 실용적인 선택이 가능합니다.


◆ 캐시미어 뜻 (단점)

캐시미어의 가장 큰 단점 중 하나는 가격입니다.
재료자체가 비싸고 그것으로 만들어진 의류 품목들은 일반적으로 다른 재료로 만들어진 것들보다 더 비쌉니다.

또한 관리가 무척 까다롭습니다.
캐시미어는 섬세한 소재로 최상의 모습을 유지하기 위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손세탁 또는 드라이클리닝을 해야 하며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보관을 잘해야 합니다.


◆ 캐시미어 뜻 (울 이란?)

울이란 동물 양의 털로 만든 섬유를 뜻합니다.
모, 양모, 모직, 울 등 다양하게 표현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울로 표시된 옷은 양의 모를 뜻하지만, 외국에서는 알파카, 염소 등 다양한 동물의 모도
전부 울이라고 칭합니다.

또한 동물이나 양의 종에 따라 메리노 울, 알파카 울 등 이름도 다르게 부르고 있습니다.
울은 양의 털이라고는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염소털, 낙타털, 라마털 등 웬만한 털을 다 포함하고 있습니다.

울의 대표적 특징은 다른 섬유에 비해 보온성이 좋고, 정전기가 잘나며, 내구성이 좋지 않고,
촉감이 따가운 편입니다.

보온성이 필요한 의류들은 울 함유량이 많을 수록 따뜻하고, 울의 단가가 면이나 폴리같은 섬유보다 높기 때문에
울 함유량이 많을 수록 의류의 가격이 올라갑니다.
그러나 내구성이 떨어지다보니 울 100%의 의류가 많지 않으며, 폴리나, 나일론 등 다른 섬유를 혼용하여 제작되기도 합니다.


◆ 캐시미어와 울(wool)의 차이점

울은 양의 털을 포함한 대부분의 동물털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반면 캐시미어는 산양의 털을 원료로 하고 있는것이 가장 다른 차이점 입니다.

그렇기에 울은 약간 따갑고 까칠까칠하며, 캐시미어는 부드럽고 포근한 편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