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설날을 맞아 1,000억 원 규모의 '서울사랑상품권'을 판매합니다.
서울시는 1월 30일부터 31일까지 양일간 25개 자치구별로 지역상품권을 발행합니다.
설맞이 서울사랑상품권 발행 규모는 총 1,000억 원으로, 25개 자치구별 발행액은 각 40억 원으로 동일합니다.
성북구.용상군 등 13개 자치구는 오는 30일에, 중구.상동구 등 12개 자치구는 31일에 구매할 수 있습니다.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자치구별로 판매 날짜와 시간을 달리해 동시 구매자를 최대한 분산한다는 계획입니다.
또한 동시 접속자 폭주를 막기 위해 상품권 판매일인 1월 30일과 31일 양일간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가맹점
찾기 등 일부 기능을 제한한다고 합니다.
◆ 서울사랑상품권 발행(25개 자치구) 일시
구분 | 2024.1.30(13개 구) | 2024.1.31.(12개 구) |
09:00 | 성북구, 용산구 | 중구, 강동구 |
10:00 | 관악구, 금천구 | 강북구, 광진구 |
11:00 | 동작구 | 양천구 |
12:00 | 노원구 | 서초구 |
13:00 | 동대문구, 도봉구 | 종로구, 중랑구 |
14:00 | 성동구 | 강서구 |
15:00 | 강남구 | 송파구 |
16:00 | 영등포구 | 은평구 |
17:00 | 서대문구, 구로구 | 마포구 |
서울사랑상품권은 '서울페이플러스 (서울pay+)'를 포함해 신한쏠뱅크, 티머니페이, 머니트리, 신한쏠페이 등 5개 앱에서 5% 할인된 금액으로 1인당 월 50만 원까지 구매할 수 있으며, 보유 한도는 1인당 150만원 입니다.
구매한 상품권은 각 자치구 내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한데,
예를 들어 '중구사랑상품권'은 중구 내 가맹점에서만 쓸수 있습니다.
구매 이후 상품권을 사용하지 않았다면 전액 취소할 수 있고, 현금 구매(계좌이체, 체크카드)의 경우 보유금액 중 60% 이상 소진한 경우에 한 해 잔액을 환불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사랑상품권에 관심 있는 시민은 원활한 상품권 구입을 위해 발행 전 일까지 미리 서울페이플러스 앱을 내려받아 회원가입을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상품권 발행 시각에 맞춰 회원가입이 집중되면 자칫 시스템 부하 등의 이유로 처리가 지연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설맞이 사랑상품권 발행조건
○ 발행일정 : 2024.1.30. (화) ~ 31.(수)
○ 사용처 : 발행자치구 내 서울사랑상품권 가맹점(※발행권자: 서울 25개 자치구청장)
○ 발행규모 : 1,000억원
○ 할인율 : 5%
○ 구매한도 : 월 50만원 (보유한도 150만원)
※ 보유한도 내 선물하기 가능
○ 유효기간 : 상품권 구매일로부터 5년
○ 사용처 : 서울페이, 신한쏠페이,티머니페이,머니트리,신한쏠뱅크
◆ 설맞이 서울사랑상품권 알아두어야 할 사항
① 가맹점 찾기 / 선물하기 기능 제한
원활한 운영을 위해 가맹점 찾기, 선물하기(09:00~18:00) 서울페이 메뉴가 제한됩니다.
② 비행기 모드 편법구매 제한
비행기모드 구매시도 시, 구매대기 순번이 가장 뒷순번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③ 계좌 / 체크카드 구매 상품권만 선물가능
선물하기는 계좌이체 또는 체크카드로 구매한 상품권만 가능합니다! (신용카드 구매는 선물 불가)
◆ 서울사랑상품권(시.자치구), 서울사랑상품권(광역)은 어떻게 다른가요?
상품권 사용처에 따른 구분입니다.
서울사랑상품권(시.자치구)는 각 자치구 서울사랑상품권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하고,
서울사랑상품권(광역)은 서울시 전체 서울사랑상품권 가맹점에서 사용가능합니다.
◆ 자치구별로 서울사랑상품권을 최대 구매한도(50만원)까지 구매할수 있나요?
네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서울사랑상품권(송파)를 최대 50만원을 구매하였더라도
별도로 서울사랑상품권(강동)을 최대 50만원 구매할 수 있습니다.
◆ 서울사랑상품권(시.자치구)을 최대 50만원 구매하려고 합니다. 개인부담금은 얼마인가요?
서울사랑상품권(시.자치구)의 할인율은 5%입니다.
따라서, 최대 50만원 구매시 할인금액은 5%인 25,000원이므로 개인부담금인 475,000원만
결제하면 됩니다.
'경제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실업급여 조건 및 신청방법] 간단히 알아보기!! (1) | 2024.01.26 |
---|---|
[기초연금수급자격] 및 신청방법 간단히 알아보기 (0) | 2024.01.23 |
2024년 [개인사업자 실업급여] 받는 방법.. (0) | 2024.01.22 |
2024년 [한부모가정지원금] 종류와 신청조건은? (0) | 2024.01.18 |
[기후동행카드] 신청 .. 23일 신청 및 이용방법 (1) | 2024.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