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퇴직금 지급기준
아르바이트 1년 이상근로시 퇴직금
알바 1년 이상 퇴직급여 계산방법
오늘은 퇴직금 지급기준부터 알바(아르바이트) 지급조건, 수령방법 및 지급기한 등에 대하여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 퇴직금이란..
근로자가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었을때 사용자(회사)로부터 받는 급여입니다.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약칭 퇴직급여보장법)'으로 이를보장받고 있습니다.
◆ 퇴직금지급기준
계속 근로기간이 1년 이상이고, 4주간을 평균해 1주간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 근로자라면 퇴직금 지급 대상에 해당됩니다.
퇴직금이라는 것은 고용주가 근로자에게 계속근로기간 1년에 대해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을 퇴직금으로 지급하는 것을
뜻합니다. 계속 근로 기간이라 함은 근로계약서 상 계약기간이 명시되어 있지 않은 근로 상태를 이야기합니다.
퇴직금의 기반이 되는 평균임금이란 퇴직금이 발생하는 기준일 이전 3개월 동안에 지급받은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 일수로 나눈 금액을 뜻합니다.
만약 평균임금이 근로자의 통상임금보다 낮을 경우 통상임금을 평균임금으로 정하여 퇴직금 공식에 산입하면 됩니다.
※ 계속 근로기간은 근로계약 체결 시(기산일)부터 근로계약이 해지될 때(마감일)까지의 기간을 의미하며,
따라서, 개근, 출근융 등과는 관계없습니다. 통상전체 재직기간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9.gif)
◆ 알바(아르바이트) 퇴직금 지급 기준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제4조(퇴직급여제도의 설정) 1항에 퇴직급여는 1년 이상 계속 근로를 한 근로자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어떠한 제한 없이 1년 근로기간이 1년 이상이라면 퇴직금지급기준 대상자로 선정되는 것입니다.
단, 4주 기간의 평균으로 1주 평균 소정의 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일 경우에는 퇴직금 대상자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이는 위에서 언급한 퇴직급여제도의 설정의 기준 법령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반드시 시간을 지켜야지만
퇴직금지급기준 대상자로 선정이 될수 있습니다.
◆ 퇴직금 계산방법
고용주는 퇴직하는 근로자에게 계속근로기간 1년에 대해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을 퇴직금으로 지급하여야 합니다.
※ 1일 평균임금 구하는 공식 :
[사유발생한 날(퇴직일) 이전 3월간의 임금총액] ÷ 사유발생한 날(퇴직일) 이전 3월간의 총 일수
여기서 '평균임금'이란, 이를 산정해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개월 간의 해당 근로자에게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애을 말합니다. 평균임금이 근로자의 통상임금보다 적으면 그 통상임금을 평균임금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 퇴직금 산정공식 : 평균임금 x 30 x (총근로일수 / 365)
※ 여기에 상여금가산액, 연차수당 가산액 등까지 고려하여 계산을 하여야 합니다.
◆ 퇴직금 지급기한
퇴직금지급기한은 퇴직일로부터 이를 청구할 수 있으나 14일이내에 퇴직금을 지급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당사자 간의 합의에 따라 지급기일을 연장할 수 있다고도 규정하고 있습니다.
◆ 퇴직금수령방법
2022년 4월 14일부터는 퇴직금 지급시에도 퇴직연금과마찬가지로 개인형퇴직연금제도 계정(IRP)으로 이전하는 것이 의무화되었습니다.
그래서 퇴직금수령방법은 IRP로 지급을 받는것이 원칙이며 중간정산시에는 IRP계정으로 지급하지 않아도 됩니다.
다만, 55세 이후에 퇴직한 경우나 퇴직금이 300만원 이하인 경우 등 일부 예외사항에 해당하면 현행과 같이 근로자에게
직접 지급할수도 있습니다.
◆ 퇴직금 중간정산 사유
① 무주택자인 근로자가 본인 명의로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
② 무주택자인 근로자가 주거를 목적으로 전세금이나 보증금을 부담해야 하는 경우
③ 근로자가 6개월 이상 요양을 필요로 하는 사람의 질병이나 부상에 대한 의료비를 연간 임금 총액의 125/1000를
초과하여 부담하는 경우입니다. (근로자본인, 배우자, 부양가족이 해당)
④ 중간정산을 신청하는 날로부터 거꾸로 계산해서 5년 이내에 근로자가 파산선고를 받은 경우
⑤ 개인회생절차개시 결정을 받은 경우
⑥ 고용주가 임금을 줄이는 제도를 시행하였을 경우
⑦ 소정근로시간을 단축함으로써 근로자가 3개월 이상 계속 근로하기로 한 경우
⑧ 1주당 60시간에서 52시간으로 단축이되어 퇴직급여가 감소한 경우
⑨ 재난으로 피해를 입은 경우
오늘은 알바(아르바이트) 퇴직금지급기준과 지급기한 등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경제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휴수당계산방법 (알바, 비정규직) 알아보기!! (0) | 2024.02.05 |
---|---|
2024년 (공인인증서)발급방법 간단히 알아보기! (1) | 2024.02.05 |
2024년 연차발생기준과 연차수당계산법 알아보기!! (0) | 2024.01.30 |
부당해고 구제신청 방법과 절차 간단히 알아보기!! (0) | 2024.01.29 |
[압류방지통장 개설방법] 및 보호금액 알아보기 (0) | 2024.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