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택임대소득 과세 연혁
▶ 2013년 이전에는 전부 과세하였으며, 2014~2018년에는 총수입금액 2천만원 이하분에 대해 한시적으로 비과세 하였습니다. 2019년 귀속(2020년 신고)부터 상가임대업 등 다른 업종과의 형평성 및 '소득 있는 곳에 세금이 있다'는 과세원칙에 따라 총수입금액 2천만원 이하 주택임대소득도 소득세가 과세됩니다.
■ 과세기준
▶ 보유 주택 수별
1주택 |
기준시가가 9억원이 넘는 국내소재 주택 또는 국외소재 주택으로부터 (보증금은 과세 안함) |
|
2주택 |
월세 수입이 있는 경우(보증금은 과세 안함) |
|
3주택 이상 |
월세 수입이 있거나 보증금 합계가 3억원을 넘는 경우 ※ 소형주택(주거 전용 면적 40㎡ 이하이면서 기준시가 2억원 이하)은 보증금 과세대상 주택에서 제외(2021년까지) |
■ 임대 유형별
월 세 |
기준시가가 9억원이 넘는 국내소재 1주택 보유자, 국외소재 1주택 보유자, |
|
보 증 금 |
보증금 합계가 3억원을 넘는 3주택 이상 보유자 ※ 소형주택(주거 전용 면적 40㎡ 이하이면서 기준시가 2억원 이하)은 보증금 과세대상 주택에서 제외(2021년까지) |
■ 사업자 등록
▶ 임대사업 시작일로부터 20일 이내에 사업장 관할 세무서에 사업자등록을 하여야 하며, 2020년 귀속(2021년 신고)부터 사업자 미등록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 소득세 신고 방법
▶ 주택임대 총수입금액이 2천만원 이하인 경우에는 종합과세(세율: 6~42%)와 분리과세(세율: 14%) 중 선택하여 신고할 수 있으며, 2천만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른 종합과세 대상 소득과 합산(세율: 6~42%)하여 신고해야 합니다.
'각종세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1월 15일 개통.. (0) | 2021.01.13 |
---|---|
주택 양도세(다주택,당첨권,조합입주권 등)을 알아보자.(2021년개정) (0) | 2021.01.12 |
"사업자폐업"시 세무 및 신고 사항 (0) | 2021.01.08 |
사업자가 내야할 모든 세금 과 신고.납부 기한 총정리!!( 2021년) (0) | 2021.01.07 |
주택분 종합부동산세율 인상 ..법인은 개인 최고세율 적용. (0) | 2021.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