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버트 반두라 (1925~)
미국의 심리학자, 사회인지학습이론의 창시자로, 그의 이론은 심리학, 교육학, 경영학 등 거의 모든 사회과학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사회인지적 관점
사회인지적 관점은 알버트 반두라가 제시한 학습이론입니다.
직접 경험해야만 학습이 가능하다는 행동주의적 관점에서 벗어나 동료, 스승, 부모 등 주변 사람들의 행위를 관찰하고 이를 모방함으로써 학습할 수 있다는 관점으로, 행동주의적 관점과 인지주의적 관점을 통합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반두라의 사회인지학습은 자기효능감(self-efficacy), 즉 자기 스스로 어떤 일을 잘 해낼 수 있다는 믿음을 강조합니다.
어떤 행동을 모방하고 자신의 행동을 바꾸어 나가기 위해서는 스스로 잘할 수 있다는 믿음이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반두라의 이론은 자기효능감의 역할을 강조해 '자기효능감 학습이론'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자기효능감 학습이론
자기효능감은 자신이 수행하고 있는 특정 업무를 잘 해낼 수 있을 것이라 믿는 개인의 성향을 뜻합니다.
자기효능감의 개념을 창안한 반두라는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네 가지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1. 성공 경험(enactive mastery): '직접적 성취' 라고도 한다.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가장 중요한 원천은 해당 과업이나 직무와 관계된 경험을 직접 해보는 것이다. 어떠한 일을 수행한 경험이 있다면 미래에도 그 일을 잘할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하게 된다.
2. 대리 학습(vicarious learning): 직접 경험하지 않은 일이라 해도 다른 누군가가 그일을 하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그 일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를 대리학습이라 하는데, 관찰 대상이 자신과 비슷하다고 생각할 때 효과가 가장 좋다.
3. 언어적 설득(verbal communication): 다른 사람으로부터 각자 성공에 필요한 기술을 갖추고 있다고 이야기를 듣는 것으로, 상사로부터의 긍정적 피드백 등을 포함한다. 동기부여에 대한 강연을 하는 사람들이 주로 이러한 방식을 사용한다.
4. 각성(arousal): 정신적.육체적으로 건강하고, 깨어 있는 상태를 뜻한다. 우리를 활력이 넘치는 상태로 만들어주며, 업무를 수행할 때 마음을 가다듬고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경제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소년 부모에 양육비 지원... 자녀 한 명당 월 20만원 (0) | 2022.08.11 |
---|---|
인보이스, 패킹리스트 무료서식 다운로드 (0) | 2022.07.22 |
채권의 종류와 특성 정확히 알기 (0) | 2022.07.07 |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방법및 자격조건 (0) | 2022.07.05 |
달라지는 DSR 규제의 뜻과 DTI와 다른점은.... (0) | 2022.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