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개인 투자자들이 국내 증시 종목 중 삼성전자 주식을 가장 많이 순매수했으나 수익률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개인은 삼성전자 보통주를 11조3천590억원어치 순매수했다. 우선주는 2조516억원 매수 우위를 보여 삼성전자 주식만 13조4천106억원어치 순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인 투자자가 유가증권시장에서 순매수한 전체 금액 23조5천596억원의 절반을 훌쩍 넘는 규모다.
새해 들어 증시에 개인 투자자가 대거 유입되면서 이들의 매수세가 삼성전자에 집중된 것으로 보인다.
개인은 지난달 첫 주부터 삼성전자(보통주)를 2조500억원어치 순매수, 둘째 주(3조8천500억원), 셋째 주(1조4천억원), 넷째 주(2조8천600억원)에도 꾸준히 매수 우위를 보였다.
주간으로 보면 올해 삼성전자는 5주 연속 개인이 가장 많이 순매수한 종목 1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수익률은 좋지 못했다. 올해 개인의 삼성전자 평균 매입 단가는 약 8만6천500원으로 지난 5일 종가 8만3천500원을 웃돌았다. 수익률로는 -3.5%다. 이 때 평균 매입 단가는 개인들의 순매수 금액을 순매수 수량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지난달 11일 삼성전자 주가는 9만1천원으로 마감하여 종가 기준 최고가를 경신했으나 이후 8만원대로 내려온 상태다.
올해 새롭게 삼성전자 주식에 진입한 개인 투자자라면 만족스럽지 않은 결과다.
실제 주식 관련 온라인 게시판에는 '86층(8만6천원)에 갇혔다', '9만원 위에서 샀다"는 등의 글을 볼 수 있다.
다만 삼성전자의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하는 증권사의 움직임은 이어지고 있다.
이에 한 증권 전문가는 지난 1일 "D랩 업황 개선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파운드리 시장에서도 매출과 시장 점유율이 확대돼 재평가(리레이팅)되는 데 따른다"면서 목표가를 기존 9만원에서 9만7천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반도체 업황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도 여전히 나온다.
"재택근무 확대에 따른 수요 증가, 클라우드 수요확대, 통신사들의 엣지 컴퓨팅(데이커 일부를 분산된 소형 서브를 통해 처리하는 방식)수요 증가를 감안할 때 서버 D랩 가격 상승 폭이 시장 예상치를 크게 상회할 가능성도 열어 둘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 encounter24@yna.co.kt-
'주식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슬라,비트코인 1조6800억원 매수..자동차 비트코인으로 구매 추진.. (1) | 2021.02.09 |
---|---|
'애플카 쇼크' 현대차그룹주.. 개인은 '바겐세일' 순매수 (0) | 2021.02.08 |
셀트리온 '렉키로나주' 식약처 코로나 항체치료체 조건부 허가 (0) | 2021.02.05 |
'공매도 금지 조지' 연장하기로.. 5월 2일까지 (0) | 2021.02.04 |
게임스톱 "공매도"와 개미의 전쟁?.. 게임스톱사태는 무엇인가? (0) | 2021.01.30 |